티스토리 뷰
개요
macOS에 MongoDB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웹서버개발공부를 하면서 새롭게 알게된 것들이 너무 많지만 하나하나 천천히 포스팅해보자.
환경
운영체제 : macOS 10.13.4 high sierra
Homebrew
mac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이다. mongodb 뿐 아니라 다른 패키지들을 설치할 때 굉장이 유용한 툴이니 꼭 설치하자.
설치 방법은 터미널을 열고
$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com/mxcl/homebrew/go/install)" |
명령어를 입력하면 homebrew를 설치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brew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brew -h |
로 도움말을 보고 어떤 명령어들이 있는지 알아두는 것도 도움이 될것이다.
MongoDB 설치
homebrew를 설치했다면 homebrew를 이용해서 mongodb를 설치해보자.
터미널을 열고
$brew install mongodb |
명령어를 입력하면 mongodb를 설치할 수 있다.
환경설정
db를 저장할 저장소를 만들고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보통 /data/db 에 저장소를 만든다고 한다. 만들어보자.
$mkdir -p /data/db |
파인더에서 보고싶으면 최상위 디렉토리로 가보면 Macintosh 아래에 data 폴더가 생성된걸 볼 수 있다. 만들어진 폴더에 권한을 부여해야된다.
$chown $USER /data/db |
이 때 권한 문제가 발생하면 명령어 앞에 sudo를 추가해서 시도해본다.
여기까지 성공했다면 mongodb 설치를 완료한것이다.
실행하기
이제 db를 실행시켜보자.
$mongod |
실행하면 로그들이 쭉 나오면서 db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27017 포트로 실행된다.
터미널 명령으로 db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새로운 터미널을 열고
$mongo |
라고 입력하면 지금 실행된 db에 접속할 수 있다.
마치며
이제 mongodb를 실행할 수 있게되었다. db를 실질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각종 쿼리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Non-Programming > Development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외부접속 설정 (0) | 2019.05.20 |
---|---|
Mac에 eclipse 설치하기 (0) | 2019.03.14 |
Git Tutorial - GitHub에 원격 Repository 생성하기 (1) | 2018.12.05 |
Windows에 Protocol Buffer 설치하기 (2) | 2017.09.05 |
- Total
- Today
- Yesterday
- C
- 운영체제
- 수학
- 자료구조
- 국내여행
- database
- Cocos2d-x
- winsock
- Spring
- 알고리즘
- mongoDB
- machine learing
- SHADER
- scala
- OS
- JSP
- ios
- 드라마
- DesignPattern
- ue4
- 데이터베이스
- Git
- C/C++
- C++
- SwiftUI
- swift
- Java
- SOCKET
- rxswift
- gam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