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번역하면 기계학습으로 컴퓨터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스스로 생각하도록 학습시키는 것을 말한다. 머신러닝은 크게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으로 나뉜다. 지도학습 (Supervised Learning) 컴퓨터에게 어떤 정답샘플을 주고 학습시킨 후 새로운 샘플이 주어졌을 때 답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가 있으며, 인공신경망은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맞는 입력형태로 변환시킨후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수많은 노드들을 거치면서 최종 답을 출력한다. 신경망을 학습시킨다는 것은 샘플데이..
클라우드 컴퓨팅 특성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환경에서 하드웨어 자원과 컴퓨팅 능력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플랫폼은 감추고 간단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API만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지 캡슐화하며 서비스가 언제 어디에서든 인터넷에 연결되어있기만 하면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비스 모델 Cloud Software-as-a-Service (SaaS) 인터넷 환경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웹 또는 서비스 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Google’s Gmail) Cloud Platform-as-a-Service (PaaS)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Google’s App Engine) Cloud I..
무선 LAN의 종류 국제표준위원회(IEEE)의 무선LAN/MAN 표준위원회(802)의 11번째 워킹그룹에서 지정하는 규격으로 이름에 IEEE 802.11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버전에 따라 a, b, g, n 등 알파벳이 붙는다. 무선 LAN 표준기구는 IEEE 802.11이 유일하기 때문에 다른 모든 무선 LAN 표준의 이름은 802.11으로 시작한다. IEEE 802.11 IEEE 802에서 최초로 지정한 무선 LAN 규격이다. 2Mbps의 속도를 가지며, 2.4G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여러 기기가 동시에 참여할 수 있도록 CSMA/CA 기술을 사용한다. 단, 초기버전이기 때문에 다양한 변수에 대응하지 못해서 호환성이 떨어졌고, 속도 또한 느려서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고 다음 버전으로 넘어갔다...
분산시스템(Distributed System)은 단일 하드웨어로 구성하기 힘든 규모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여러개의 하드웨어가 서로 각자 맡은일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축한 시스템을 말한다. 분산시스템의 목적 리소스의 공유 원격 저장소에 있는 자원을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한다. 투명성 사용자는 시스템이 어떻게 분산되어있는지 알 필요가 없다. 개방성 기능을 추가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야한다. 확장성 얼마나 많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말한다. 트래픽이 증가했을 때 문제없이 동작할 수 있는지, 저장공간을 동적으로 추가하거나 줄일 수 있는지 등을 말한다. 이를 위해 분산시스템을 사용하는 서버는 비동기 통신을 지원하여 작업이 처리되는 동안에도 계속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할 수 있게 하여 latency를 줄일..
개요git 용어를 알아보기 전에 git이 정확히 뭔지 알아보고 넘어가자. git이란?git은 여러 사람들이 동시에 한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해당 프로젝트를 관리해 주는 도구로 리눅스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즈(Linus Torvalds)가 만든 프로그램이다. git은 단순히 소스코드를 관리해주는 도구이며, git 저장소를 서버에 저장해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려면 git server를 구축해야 한다. git server를 구축하는 것은 나름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git server를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있다. // bonobo git, github 등 git을 사용하는 이유여러 사람이 한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소스코드 관리 프로그램이 왜 필요할까? git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 스케줄링(Process Scheduling)운영체제가 여러개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려고 할 때 하나의 프로세스에만 자원을 할당하면 나머지 프로세스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규칙에 맞게 자원을 할당하여 모든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프로세스 스케줄링이라고 하며 자원할당정책에 따라 크게 비선점방식, 선점방식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비선점방식어떤 프로세스가 cpu자원을 사용하고있을 때 다른 프로세스가 해당 자원을 빼앗아올 수 없도록 하는 정책. FCFS(First Come First Service)작업큐에 먼저 삽입된 순서대로 자원을 할당한다. SJF(Short Jop First)작업시간이 가장 짧은 순서대로 자원을 할당한다. 따라서 실행시간이 긴 ..
네트워크 통신을 하다보면 중간에 물리적인 장애물, 잡음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유실,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는 항상 수신받은 데이터가 정확한 데이터가 아닐 것이라는 의심을 가지고 오류를 검사해야 한다. 그 중 오류 검출과 수정을 한번에 할 수 있는 방법인 해밍 코드(Hamming Code)에 대해 알아보자. 해밍코드는 생성, 검출, 수정 3가지 단계를 가진다. 생성 해밍코드의 아이디어는 하나의 데이터단위에 대해 충분한 패리티비트를 추가해서 수신측으로 하여금 패리티비트로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패리티 비트 짝수 패리티, 홀수 패리티로 나뉘며 데이터 단위를 구성하는 비트 중 1의 개수를 홀수/짝수로 만드는 비트이다. 1100110의 짝수 패리티는 0, ..
- Total
- Today
- Yesterday
- winsock
- 수학
- Java
- Cocos2d-x
- C/C++
- C++
- 자료구조
- machine learing
- Git
- ue4
- rxswift
- C
- JSP
- 운영체제
- database
- 국내여행
- mongoDB
- 데이터베이스
- ios
- SOCKET
- scala
- swift
- DesignPattern
- Spring
- OS
- SHADER
- 알고리즘
- SwiftUI
- game
- 드라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